지원금 5가지 총정리 (2025년 기준)

육아비, 교육비, 의료비…
아이를 키우는 데 드는 비용은 생각보다 큽니다.
정부에서는 이런 부담을 덜기 위해 다양한 육아 지원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오늘은 아이를 키우는 가정이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할 정부 지원금 5가지를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.

 

아이키우면알아야할_지원금
아이키우면알아야할_지원금

✅ 1. 아동수당 (월 10만 원)

✔︎ 지급 대상

  • 2025년 현재 기준: 만 8세 미만(0세~7세) 아동
  • 2026년 이후 만 18세까지 확대 계획 논의 중입니다

✔︎ 지원 내용

  • 월 10만 원 정액 지급
  • 아동 명의로 지정된 보호자 계좌로 입금

✔︎ 신청 방법

  •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정부 24 온라인 신청
  • 출생 신고와 동시에 자동 연계 신청 가능

✅ 2. 영아수당 (0세~1세 가정)

✔︎ 지급 대상

  • 2025년 기준 만 0~1세 영아 양육 가정
  • 어린이집 미이용 시 ‘가정양육수당’으로도 지원

✔︎ 지원 내용

연령월 지원금

만 0세 월 70만 원
만 1세 월 35만 원
※ 보육기관 이용 시 바우처 형태로 지급

✔︎ 신청 방법

  • 복지로 또는 정부24 홈페이지
  • 출생 등록 후 60일 이내 신청 권장

✅ 3. 다자녀 가구 지원 (지자체별 차등)

✔︎ 주요 혜택 예시 (부산시 기준)

  • 다자녀 행복카드 발급
  • 공공요금 감면 (전기·상하수도)
  • 다자녀 포인트 지급 (월 1만~3만 포인트)
  • K-패스 대중교통비 지원

✔︎ 대상 기준

  • 만 18세 미만 자녀 3명 이상 가구
  • 일부 지자체는 2자녀부터 인정

✔︎ 신청처

  • 각 시·군·구청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
  • 온라인은 복지로(www.bokjiro.go.kr)

✅ 4. 초등 돌봄 교실 & 아이 돌봄 서비스

✔︎ 초등 돌봄 교실

  • 맞벌이·한부모 가정 중심
  • 초등학교 저학년(1~2학년) 대상
  • 학교 내 돌봄 전담교사가 하교 후 케어
  • 간식·놀이·학습지도 제공

✔︎ 아이 돌봄 서비스

  • 생후 3개월~만 12세 이하 자녀 돌봄
  • 시간제/종일제 선택 가능
  •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지원율 최대 90%

✔︎ 신청처

  • 아이 돌봄 누리집: www.idolbom.go.kr
  • 각 학교·교육청·행정복지센터

✅ 5. 출산·육아 관련 세금 감면 혜택

✔︎ 소득공제 혜택

  • 자녀 1명당 기본공제 150만 원
  • 2명 이상일 경우 추가공제 가능

✔︎ 출산·입양 세액공제

  • 첫째: 30만 원
  • 둘째: 50만 원
  • 셋째 이상: 70만 원 세액공제

✔︎ 신청 방법

  •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적용
  • 국세청 홈택스 이용

🎁 보너스: 2025년부터 새로 도입되거나 확대된 제도

제도 주요 내용
아동급식카드 개선 비현금 형태로 식사 쿠폰 지급, 디자인 개선
기저귀·조제분유 바우처 확대 국민행복카드와 연계, 온라인 구매 허용 확대
유아학비지원 확대 누리과정비 월 최대 30만 원 지원

💬 마무리하며

아이를 키우는 일은 때로는 막막하지만, 정부가 제공하는 제도를 잘 활용하면 조금이나마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.
지금 내가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 무엇인지 확인하고, 신청 기한을 놓치지 마세요.
특히 출생 직후부터 신청 가능한 제도는 출생신고와 동시에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.